본문 바로가기

기타

연봉 3300 실수령액 계산하기, 세후 연봉 계산 방법


● 연봉 3300 만원인 경우에 월급여는 단순계산법을론 275만원이 된다.


● 이 2,750,000원에서 국민연금을 비롯해 건강보험료, 소득세, 고용보험료 등의 공제액을 빼고 나면 매월 실수령액이 된다.


● 연봉 3300 매달 실수령액 = 2,750,000원 - (국민연금 + 건강보험 보험료 + 고용보험료 + 소득세 + 장기요양보험료 + 지방세)



월 공제액 합계 계산

1. 국민연금 월납부액 = 월급여 × 4.5% = 275만원 × 0.045 = 123,750원


2. 건강보험료 월납입액 = 월급여 × 3.06% = 275만 × 0.0306 = 84,150원


3. 고용보험 월납부액 = 월급여 × 0.65% = 275만 × 0.0065 = 17,870원


4. 소득세 금액= 국세청 근로소득 세액기준표 = 63,030원


5. 장기요양보험 월납입액 = 건강보험료 × 6.55% = 84,150원 × 0.065 = 5,510원


6. 지방세 금액 = 소득세 × 10% = 63,030원 × 0.10 = 6,300원


7. 공제액 합계 총액 = 300,610원


8. 매달 실수령액 = 2,750,000원 - 300,610원 = 2,449,390원


9. 연봉 3300 실수령액 = 2,449,390원 × 12 = 29,392,680원


● 그러나 이 계산결과는 독신자, 비과세 0원 기준으로 한 세후 연봉 계산결과로 기혼자나 비과세액이 얼마냐에 따라 실수령액이 달라질 수 있다.


● 비과세액은 식대비, 출산 및 보육수당, 생산직 근로자의 야근수당, 해외근로자 수당 등이 포함된다. 한달에 비과세액 합계가 10만원이면 2만원정도 실수령액이 증가하고, 20만원이면 4만원정도 증가한다.


● 부양가족수 역시 매달 수령액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양가족수 계산은 독신은 1명, 부부는 2명으로 계산하고, 자녀가 1명이면 총 3명으로 계산한다.


● 부양가족수가 2명이면 연봉 3300만원의 월수령액은 2만원 정도 올라가고, 3명인 경우 매달 5만원 정도 증가한다.